‘제로음료’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 제공
KFCF
2024-08-01
3245
감미료 함량은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높지 않은 수준
한국소비자원이 제로음료 14개 제품의 감미료와 당류 함량 및 중금속 등 안전성을 시험하고 표시 실태 및 가격 등을 조사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시험 결과, 제로음료의 당류 함량은 `제로슈가' 표시 기준에 적합했고, 설탕 대신 첨가한 감미료는 일일섭취허용량(ADI) 대비 3~13%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제로음료의 열량은 일반 탄산음료의 1~22%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다이어트를 위해 일반음료의 대체품으로 섭취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이와 함께 콜라형 제로음료의 카페인 함량은 기준에 적합했지만, 일반음료와 동일한 수준이었고, 제품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항목별 주요 시험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 대상 제로음료 전 제품이 설탕의 200~600배 단맛을 가지는 고감미도 감미료인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를 사용하고 있었다.
아세설팜칼륨은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가 100㎖당 20㎎으로 가장 많았고 ‘밀키스 제로(롯데칠성음료㈜)’와 ‘칠성사이다 제로(롯데칠성음료)’가 7㎎으로 가장 적었으며, 수크랄로스는 ‘스프라이트 제로(코카-콜라음료)’와 ‘맥콜 제로(일화)’가 100㎖당 27㎎으로 가장 많았고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와 ‘칠성사이다 제로(롯데칠성음료)’가 14㎎으로 가장 적었다.
감미료는 안전한 사용을 위해 일일섭취허용량(ADI)이 설정되어 있으며 시험 대상 제품 1개의 아세설팜칼륨과 수크랄로스 함량은 성인(체중 60㎏) 기준 ADI 대비 3~13%로 높지 않은 수준이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감미료를 ‘다이어트 및 질병 저감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있어,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는 가급적 감미료 첨가 음료의 섭취를 줄이고 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당류는 ‘밀키스 제로(롯데칠성음료)’ 제품이 100㎖당 0.4g, 나머지 13개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시험 대상 전 제품이 `제로슈가' 관련 표시 기준에 적합했다.
제로음료의 당류 함량(불검출~0.4g)은 일반 가당 탄산음료(100㎖당 10g)와 비교했을 때 매우 적은 편이었다.
또한 열량은 시험 대상 14개 제품 중 13개가 100㎖당 3㎉ 이하였고,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 1개 제품은 100㎖당 9㎉였다.
제로음료 1개의 열량은 2~32㎉로 일반 가당 탄산음료(1개당 144㎉)와 비교 시에 1~22% 수준으로 적은 편이었다.
시험 대상 중 콜라형 제로음료 4개 제품이 100㎖당 3~13㎎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었는데, ‘펩시 제로슈가 라임(롯데칠성음료)’이 100㎖당 13㎎으로 가장 많았고, ‘노브랜드 콜라 제로(이마트)’가 100㎖당 3㎎으로 가장 적었다.
콜라형 제로음료의 카페인 함량은 일반 가당 콜라(100㎖당 10㎎)와 큰 차이가 없어 평소 카페인에 예민한 소비자나 어린이는 섭취 시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식용색소(타르색소), 보존료(안식향산, 소브산) 등 식품첨가물, 중금속(납, 카드뮴), 미생물(세균수, 대장균군) 등 안전성 시험 결과, 시험 대상 전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감미료 관련 표시사항을 점검한 결과, 표시 대상인 아스파탐과 에리스리톨이 들어있는 제품 2종이 관련 주의사항을 적합하게 표시하고 있었다.
가격은 100㎖당 ‘노브랜드 콜라 제로(이마트)’가 140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미에로화이바 스파클링 제로(현대약품)’가 630원으로 가장 비쌌다.
동일 유형 제품 간에는 콜라형 제품인 ‘코카콜라 제로(코카-콜라음료)’와 ‘펩시 제로슈가 라임(롯데칠성음료)’이 560원으로 ‘노브랜드 콜라 제로(이마트)’에 비해 4배 가량 비쌌다.
‘제로음료’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는 ‘소비자24’(www.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 첨부 파일
내용 상세 및 붙임 자료(제로음료 주요 시험·평가 결과, 제로음료 종합 결과표, 제로음료 구매·섭취 및 분리 배출 가이드) 포함